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스트레칭
- 건강다이어트과
- 인슐린
- 대구보건대학
- 달마대사
- 달라이라마
- 가시고기
- 건강
- 마그네슘
- 심근경색
- 아드레날린
- 사회적동물
- 운동
- 신언서판
- 뇌졸중
- 성장호르몬
- 유산소운동
- 다이어트
- 요요현상
- 관세음보살
- 피하지방
- 태조왕건
- 체질량지수
- 나재철
- 나재철닷컴
- 플라톤
- 테스토스테론
- 금강경
- 철인3종경기
- 가짜영어사전
- Today
- Total
금재설화(錦載屑話)
타르코프스키의 영화 본문
1. 타르코프스키의 예술관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Andrei Arsenyevich Tarkovsky, 1932 - 1986)는 구 소련 이바노프 지구의 자브로지에서 태어나 1986년 프랑스 파리의 한 병원에서 5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7편의 작품을 남긴 러시아 영화감독이자 예술가이다.
타르코프스키는 "감독은 일종의 철학자가 되었을 때만 비로소 예술가가 되며, 그의 영화도 예술이 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는데, 나는 그가 철학자라고 생각한다.
그는 인간이 지구상에 사는 이유는 영적으로 자신을 고양시키기 위한 것인데, 예술은 이 영적인 고양을 돕는 작업이라고 생각했고, 이러한 일을 떠맡은 예술가의 책임을 크게 강조했다. 타르코프스키는 물질주의, 이기주의에 병든 우리들의 삶에 새로운 목표와 지향을 형성함으로써 절망적인 시대를 극복할 수 있는 희망과 믿음을 정립하려 했다. 따라서 그는 인간을 구하려는 노력과 희망, 믿음을 주는 예술을 추종한 예술가였다.
타르코프스키에게 있어서 예술은 예술을 넘어, 정치를 넘어, 종교를 넘어 '인류를 위한 구원의 마지막 가능성'인 것이다(김용규, 타르코프스키는 이렇게 말했다, 이론과 실천, 2004, p.69).
2. 타르코프스키 영화의 특징
1) 타르코프스키 영화는 시적인 영상으로 가득한 영화, 영성이 풍부하게 깃든 영화, 느림의 미학을 추구하는 영화이다.
2) 타르코프스키 영화는 고도의 예술성을 추구하는 가운데 그 속에 심오한 인간 내면의 물음을 담아 넣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3) 타르코프스키 영화는 '영화로서의 詩', '詩로서의 영화(진정성)'라는 표현이 붙어 있다.
타르코프스키는 자신의 영화연출 기법을 '포에지(poesie, 詩作法)'라고 규정하고 있는데, 그에게 있어서 포에지는 그가 영화를 만드는 탁월한 방식이자 그것을 통해 세상을 보는 눈이다. 그래서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지금 내가 여기서 말하는 시(詩, poesie)란 문학의 한 장르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포에지란 내겐 하나의 세계관이며 현실과 맺는 관계의 하나의 특수한 형식이다' (김용규, 위의 책, pp.47-48).
<타르코프스키의 영화>란 책을 쓴 스탠포드 대학 슬라브어문학 조교수 나리만 스카코브(Nariman Skakov)는 타르코프스키의 두 저서(시간 속의 시간과 시간 속의 조각) 속에 모두 들어있는 시간은 단순한 '때'가 아닌 현상으로서의 '시간'을 말하며, 이것은 영화감독 타르코프스키가 평생 매달렸던 주제였음을 밝히면서, 미학적 체계의 핵심인 시간을 타르코프스키는 그의 트레이드마크인 롱테이크기법으로 잘 표
현하고 있음을 주장하고, 타르코프스키는 그가 보기에 다양한 시간과 공간의 불가해한 단편들을 주관적으로 쌓아올려 현실의 경험을 구성해가는 인간 조건을 생생히 전달할 수 있는 영화적 수단을 택한 것으로 본다(나리만 스카코브, 이시은 옮김, 타르코프스키의 영화, B612, 2012, pp.6-26).
2. 타르코프스키의 일곱 작품
1) 이반의 어린시절(Ivanovo detstvo, 1962) : 전쟁이라는 가혹한 현실 속에서 이상 세계를 향한 이반의 꿈
2) 안드레이 루블료프(Andrei Rublyev, 1966) : 인간의 신념에 대한 진지한 고찰
3) 솔라리스(Solaris, 1972) : 인간의 양심
4) 거울(Zerkalo, 1975) : 이기주의 극복
5) 잠입자(Stalker, 1979) : 인간의 희망에 대한 혜지
6) 노스탤지어(Nostalghia, 1982) : 연약한 인간의 탐구
7) 희생(The Sacrifice, 1986) : 책임과 희생
타르코스스키는 인류의 이상은 사회적, 정치적 행동에 의해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직 진정한 예술 곧 '이상을 향한 동경으로서의 예술'을 통해서만 이룰 수 있다는 예술관을 가지고 24년에 걸쳐 타르코프스키적 인간, 타르코프스키적 이상 세계, 타르코프스키적 질문과 그 해결법을 위의 일곱 편의 작품을 통해서 일관되게 제시하고 있다. 즉, 타르코프스키는 그의 작품들을 통해 현실세계의 절망을 극복하고 '인간이 할 수 있는 최선, 그러니까 희망, 믿음, 사랑, 아름다움, 기도, 또는 인간이 꿈꾸고 바라는 것들을 강화'시키는 일들을 자신이 던진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서 차례차례 해나갔다( 위 책 p.71).
타르코프스키가 그의 작품을 통해서 우리에게 전하고자 한 강한 메시지는 사랑과 희생만이 인류를 구원한다는 것이었다.
~~~~~~~~~~~~~~~~~~~~~~~~~~~~~~~~~~~~~~~~~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2013학년도 1학년 1학기 교과목 중 <영화로 생각하기> 제10장에 소개되어 있는 타르코프스키 감독 영화, '솔라리스'(1972년 작품)를 읽고 보면서, 인간 영성과 양심, 사랑과 희생, 믿음과 희망을 고찰한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에 대한 호기심과 궁금증이 생겨 살펴보았다.
'산수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아제와 레프 비고츠키 (0) | 2013.10.11 |
---|---|
솔라리스 (1) | 2013.09.24 |
파리스의 판정 (0) | 2013.08.15 |
음란한 마음을 품은 익시온 (0) | 2013.08.15 |
스토아학파의 행복론 (3) | 2013.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