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금재설화(錦載屑話)

파리스의 판정 본문

산수호학

파리스의 판정

산수호학(山叟好學) 2013. 8. 15. 10:08

 

 

 

 

 성경 창세기에 나오는 선악과,파리스의 판정, 아이작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 윌리암 텔의 화살 등은 모두 사과(Apple)와 관련된 일화들이다. 또한, 사과를 빗대어 인체에 쓰이는 말도 있다.  남자의 울대뼈를 뜻하는 Adam's apple, 복부비만의 모양을 뜻하는 Apple type이 그것이다.

아담과 하와가 창세기의 사과를 먹음으로써 원죄를 짖게 되어 에덴 동산에서 영원히 추방당하고, 뉴턴은 사과나무에서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하게 되며, 윌리엄 텔은 아들의 머리 위에 놓여 있는 사과를 명중시킴으로써 위험에서 벗어난다.

파리스의 판정은  '트로이아 전쟁'의 발단을 말해 주는 것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이야기이다.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보자.

 

아킬레우스의 부모님(아름다운 바다의 여신 테티스와 칼뤼돈 멧돼지 사냥과 아르고 호의 모험에 참여했던 영웅 펠레우스) 결혼식에는 모든 신이 선물을 가지고 참석했지만, 유일하게 불화의 여신 에리스만이 초대받지 못하였다.

이 불화의 여신이 심통을 부려 잔치 자리 가운데에 '가장 아름다운 이에게'라고 쓰인 황금사과를 던지게 된다.

결혼식에 참여했던 모든 여신이 그 황금사과가 자신의 것이라고 주장하게 되고, 결국 헤라, 아테네, 아프로디테 세 명으로 압축된다.

제우스느 이 골치 아픈 문제를 인간에게 떠남기로 결정하고, 헤르메스를 시켜 이 세 명의 여신들을 인간들 중 가장 미남인 트로이아의 왕자 파리스에게로 보낸다.

 

이에 여신들은 파리스를 매수하기 위해 선물을 약속하게 된다. 헤라는 파리스에게 강대한 권력이라는 선물을 약속했고, 아테네는 전쟁에서의 승리를, 아프로디테는 그에게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을 선물로 주겠다고 제안했다.

토로이아의 왕자, 파리스는 아프로디테의 약속을 선택하고, 그 여신에게 사과를 넘겨 준다. 하지만, 아프로디테가 약속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은 불행히도 메넬라오스의 아내 헬레네였고, 파리스가 유부녀 헬레네를 트로이아로 데려가는 바람에 트로이아 전쟁이 일어나게 된 것이다.

 

트로이아 전쟁의 원인이 된 헬레네는 레다의 딸로서, 제우스가 백조로 변신하여 그녀에게 접근하여 낳게 한 아이라고 한다. 그래서 헬레네는 알에서 태어났다는 이야기가 우세하다. 헬레네가 성장하자 그녀의 미모에 대한 소문이 희랍 전역에 퍼지고 구혼자들이 쇄도한다. 오뒷세우스는 말을 잡아 신께 제사를 드리고, 구혼자들을 그 위에 올라서게 하여 누가 헬레네의 신랑으로 결정되든 다른 사람은 신랑신부를 보호해 주겠다는 맹세를 하게 했다. 결국 신랑은 가장 부유한 메넬라오스로 결정되었고, 희랍 전역에서 몰려든 구혼자들은 그 맹세 때문에 나중에 트로이아 전쟁에 동원되는 것이다.

 

파리스의 판정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대체로 알레고리적 해석(추상적인 개념이 구체적인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이 우세하다. 세 여신의 선물은 무엇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가 하는 문제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 이야기의 핵심은, 나른한 건달이 벌거벗은 여자 셋을 놓고 누가 가장 예쁜지 판정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인생의 위기에 세 가지 여성적인 원리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인간의 상황이라는 것이다.

 

<출처> 강대진, 이정호, 신화의 세계,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3, pp.211-215.

 

 

'산수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라리스  (1) 2013.09.24
타르코프스키의 영화  (0) 2013.09.24
음란한 마음을 품은 익시온  (0) 2013.08.15
스토아학파의 행복론  (3) 2013.08.09
러셀의 행복론  (0) 2013.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