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가짜영어사전
- 유산소운동
- 아드레날린
- 사회적동물
- 신언서판
- 대구보건대학
- 인슐린
- 뇌졸중
- 운동
- 심근경색
- 달라이라마
- 나재철
- 나재철닷컴
- 금강경
- 피하지방
- 체질량지수
- 스트레칭
- 태조왕건
- 달마대사
- 마그네슘
- 철인3종경기
- 플라톤
- 테스토스테론
- 가시고기
- 성장호르몬
- 건강
- 관세음보살
- 요요현상
- 건강다이어트과
- 다이어트
- Today
- Total
금재설화(錦載屑話)
운동과 상기도 감염 본문
기존의 연구들에 의하면, 운동시 감염 질환에 대한 저항성에 있어서 이중 효과(dual effect)를 지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선수, 코치 및 팀의사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은 선수들이 격심한 운동, 주요 시합, 과도한 트레이닝 중 상기도 감염(감기)과 같은 감염 질환에 대해 민감하다는 것이고, 반면 건강을 위해 운동하는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보편적인 생각은 규칙적인 운동이 감염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켜 준다는 것입니다.
오늘은 운동과 감염에 대한 감수성간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eters와 Bateman(1983)에 의해서 상기도감염(URTI ; upper respiratory track infection)이 최초로 보고되었는데, 운동과 감염에 대한 감수성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시된 세 가지 모델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Nieman과 Nehlsen-Cannarella(1992)의 'J-형 모델이고, 두번째는 Pedersen과 Ullum(1994)의 '오픈 윈도우(open window)모델' 이며, 세번째는 Smith와 Weidemann(1990)의 '신경내분비 모델'입니다.
첫번째 모델은 운동량, 운동강도와 URTI율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중강도로 운동하는 개인보다 격렬한 운동이나 트레이닝을 겪는 선수들에서 URTI율이 증가한다는 주장입니다. 이 모델은 적절한 운동부하는 면역감시의 향상과 상기도감염 위험성의 감소와 관련이 있는 반면, 특이하게 높은 운동부하는 면역감시의 감소와 감염에 대한 위험성의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두번째 모델은 격심한 운동 후 선수들에서 감염율이 증가하는 시기를 설명하는 것으로 중정도 운동은 면역기능을 긍정적으로 자극하지만 격심한 운동은 장시간 지속적으로 면역억압을 일으켜 피부점막표면 등의 약화를 초래하여 감염에 노출되는 위험한 시간이 있다는 내용입니다.
마지막으로 세번째 모델은 운동 중 방출되는 면역조절성 호르몬(카테콜아민;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 코티졸, 프로락틴, 베타엔돌핀, 성장호르몬 등)이 운동강도와 운동지속시간에 의존하여 면역자극이나 면역억압과 관계한다는 생리학적 설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가장 보편적인 상기도감염은 라이노바이러스 혹은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유발되는 급성 비염(acute coryza)입니다. 상기도감염의 전형적인 징후는 비인두염, 코염증, 기침 및 후두염이며, 인두염, 가막성 후두염, 세균성 기관염 혹은 후두개염 등이 나타날 때도 있습니다.
선수들 사이에서 URTI의 위험성 증가는 특히 격렬한 운동기간에 일어나는데, 이것은 고강도 트레이닝이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감수성의 구멍(window of susceptibility)을 만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합에 대한 준비로 격렬한 운동 스트레스를 겪는 엘리트 선수들을 위해서 URTI의 위험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예방책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최적수준에서 인체의 비타민과 미네랄풀을 유지하기 위해 잘 균형잡힌 식이요법이 되게 하십시오. 특히, 격심한 운동 전, 중, 후 탄수화물 투여는 글루코스 농도를 높게 하여 혈장 스트레스호르몬(코티졸) 상승을 약화시키고, 면역계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과도한 트레이닝과 만성적인 피로를 피하십시오.
3) 규칙적인 스케줄로 적절한 수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십시오.
4) 급속한 체중감소를 피하십시오.
5) 눈과 코(바이러스 자가 접종의 주요 경로)에 손이 닿는 것을 조심하십시오.
6) 중요한 시합 전에는 가능한 한 아픈 사람과 많은 군중이 있는 곳을 피하십시오.
7) 겨울 시합에 출전하는 선수들을 위해서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이 추천되고 있습니다.
8) 의사의 충고로 URTI를 치료하기 위해서 새로운 항염증성, 항바이러스성 물질의 사용이 고려되고 있습니다.
9) 일상적인 생활에서 스트레스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십시오.
이상과 같은 예방 대책은 마라톤(심지어 울트라마라톤), 철인3종경기 등과 같은 운동을 준비하거나 참가하는 일반인들에게도 추천되는 것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상기도감염(감기)은 선수들 뿐만 아니라 자신의 건강상태와 체력수준을 벗어난 탈진적인 지구성 운동, 과도한 트레이닝, 무리한 다이어트운동을 지속하는 일반인들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금재운동면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과 세균성 감염 (0) | 2013.04.06 |
---|---|
운동과 피부감염 (0) | 2013.04.06 |
운동과 감염 (0) | 2013.04.04 |
운동과 체액성 면역 (0) | 2013.03.31 |
운동과 세포성 면역 (0) | 2013.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