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재설화(錦載屑話)
운동과 감염 본문
1. 스포츠관련성 감염 질환
운동선수들은 스포츠에서 기술과 체력의 특수한 요소를 향상시켜 경쟁에 이기기 위해서 주로 훈련(트레이닝)을 하고, 일반인들은 체력 향상, 심리적 안정 및 건강증진을 위해서 규칙적인 신체활동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매우 격렬한 운동과 높은 수준의 운동 경쟁은 인체의 면역기능을 억압하고 감염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염은 종종 선수의 경기수행능력의 저하와 관련이 있고 영속적이고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감염은 생리적인 스트레스원으로써 안정시 항상성을 동요시키고 염증 반응을 유도한다고 Cularke(1984)는 주장했습니다. 최초의 연구들 중 하나로서 Dorwan과 Friedlander(1942)는 감염 중 신체수행능력의 감소가 폐결핵(pulmanary tuberculosis)이 있는 환자에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유산소파워, 등척성 및 등속성 파워는 급성감염질환 중에 역효과를 나타냈고, 동물연구에서는 감염 중 신체적 운동수행능력의 약화를 나타낸 것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1996년 미국의 게토레이스포츠과학연구소에 의해서 행해진 조사에서, 2,700명의 고등학교와 대학 코치 및 선수트레이너를 대상으로 "여러분은 과도한 트레이닝이 면역계를 위협할 수 있고 선수들이 질병에 걸릴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라는 질문에 89%가 "예"라고 대답했습니다.
Maffulli 등(1993)과 Parker 등(1996)은 어떤 선수들에서 바이러스 감염은 '바이러스 피로 증세'로 알려진 건강에 좋지 않은 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런 증세는 기면, 쉬운 피로성 및 근육통을 포함하고 몇 달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간접적으로 이러한 자료는 운동과 감염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지지하는 것입니다.
1997년과 1998년 4월 상파울로 국제올림픽코스 트라이애슬론대회에 참가한 12명의 남자 엘리트 트라이애슬론 선수들이 경기 후 보고한 증세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Bassit 등, 2000).
열, 지속성 근육통, 긴장, 다음 운동기의 고통, 고통스러운 인후, 인후 공기통로의 염증, 인후의 소양증, 기침, 재채기, 뇌염, 코감기, 감기, 인플루엔자, 헤르페스, 설염, 아프타(구강 점막에 나타나는 적색, 회색의 소판점), 결막염, 귀의 염증, 진균증, 칸디다에 의한 감염, 건염, 관절고통, 기분의 갑작스러운 변화, 불면증, 허약, 무력감, 식욕부진
스포츠관련성 감염(sports-related infections)에는 피부바이러스감염, 피부와 연부조직의 세균성감염, 피부진균(곰팡이)감염 등이 있습니다. 몇 회에 걸쳐서 신체 운동 중에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스포츠관련성 감염에 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재운동면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과 피부감염 (0) | 2013.04.06 |
---|---|
운동과 상기도 감염 (0) | 2013.04.05 |
운동과 체액성 면역 (0) | 2013.03.31 |
운동과 세포성 면역 (0) | 2013.03.12 |
운동과 선천성 면역 (0) | 201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