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건강다이어트과
- 요요현상
- 플라톤
- 나재철닷컴
- 태조왕건
- 대구보건대학
- 건강
- 나재철
- 달마대사
- 스트레칭
- 체질량지수
- 달라이라마
- 아드레날린
- 운동
- 신언서판
- 성장호르몬
- 관세음보살
- 피하지방
- 금강경
- 다이어트
- 가짜영어사전
- 인슐린
- 유산소운동
- 가시고기
- 사회적동물
- 테스토스테론
- 심근경색
- 철인3종경기
- 뇌졸중
- 마그네슘
- Today
- Total
금재설화(錦載屑話)
일주문에서 금당까지 본문
사찰에 들어가는 산문 중 첫번째 문은 일주문이다.
일주문은 기둥이 한줄로 되어 있다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기둥을 일렬로 세운 일주문이 상징하는 뜻은 모든 진리는 하나로 돌아가는 것이며, 모든 존재는 일심의 작용에 의해서 나타난다는 불교의 근본진리를 나타내고 있다.
일주문 다음에 있는 두번째 문은 사찰의 수호신인 사천왕을 모신 사천왕문 혹은 천왕문이다.
사천왕은 여러 단계나 되는 천상계 중에서 가장 낮은 곳에 있는 제석천왕의 지시에 따라 사천왕천의 동서남북 네 지역을 관장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사천왕 가운데 동쪽을 수호하는 분은 지국천왕이고, 서쪽을 관장하는 분은 광목천왕이며, 남쪽을 수호하는 분은 증장천왕이고, 북쪽을 지키는 분은 다문천왕이다.
사찰로 들어가는 문 가운데 본전에 이르는 마지막 문이 불이문이다. 불이라는 말은 둘이 아니다 라는 뜻으로 진리 그 자체를 표현한 말이다. 불이문을 지나면 금당이 바로 보인다.
본존불을 모신 절의 가장 중심이 되는 법당을 금당이라고 한다. 금당을 본당, 불전, 법당이라고도 한다. 사찰안에는 대웅전, 극락전, 팔상전, 약사전, 용화전, 대적광전, 관음전, 나한전, 명부전, 천불전, 적멸보궁 등 많은 법당이 있다.
선종계통의 사찰에서 석가모니 부처님을 본존불로 모신 본당을 대웅전이라고 한다. 대웅전 안에는 석가모니 부처님을 한 분만 모시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에 좌우에서 모시고 시중드는 협시보살을 두고 있다. 석가모니불을 가운데 두고 왼쪽에 문수보살, 오른쪽에 보현보살을 협시로 봉안하는 것이 우리 나라 사찰의 일반적인 관례이다.
어떤 큰 절에서는 대웅전의 격을 한층 더 높여 본당을 대웅보전이라고 하는 곳도 있다. 그럴 때에는 가운데 주불인 석가모니불을 모시고 오른쪽에 아미타불, 왼쪽에 약사여래을 모시기도 한다. 이렇게 세 분의 부처님을 모시는 경우 그 부처님을 삼존불이라고 한다.
또, 어떤 대웅전에는 삼세불과 삼신불을 모시는 경우도 있다. 삼세불이란 현재, 과거, 미래세계의 부처님을 말하며, 삼세를 대표하는 부처님을 모두 한자리에 모시는 데, 가운데는 현세를 대표하는 석가모니불, 왼쪽에 과거를 대표하는 정광불, 오른쪽에 미래를 대표하는 미륵불을 모신다.
삼신불이란 법신불(영원 불변의 진리를 몸으로 한 부처님), 보신불(오랜 수행의 과정을 거쳐 얻은 무궁무진한 공덕으로 한 부처님), 화신불(중생을 교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형상으로 변하는 부처의 몸)을 일컫는다. 우리 나라에서는 선종의 삼신설에 따라 가운데는 천백억화신 석가모니불을 안치하고 왼쪽에 원만보신 노사나불, 오른쪽에 청정법신 비로자나불을 모신다. 이와 같이 삼신불을 봉안하고 있는 절은 화엄을 중시하는 사찰임을 나타낸다.
대웅전의 정면 중앙에 부처님이 앉아있는 불단을 수미단이라고 하는데, 이는 불교의 세계관에서 세계의 중심에 있는 수미단 꼭대기에 부처님이 앉아서 자비와 지혜의 빛을 두루 발하고 있음을 상징하는 것이다.
청정법신 비로자나불은 현상세계에 나타난 모든 부처님의 원래의 모습인 진리 자체를 상징하는 진신 또는 법신을 뜻하는 부처님이다. 여기서 법신이란 빛깔이나 형상 등으로 나타낼 수 없는 가장 근본적 우주의 본체인 진여실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비로자나불의 세계는 특별한 부처님의 세계가 아니고 바로 우리 자신이 살고 있는 현실세계라는 특징이 있다.
비로자나불을 모신 전각을 대적광전, 대광명전, 비로전, 화엄전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부른다. 대적광전 또는 대명광전 안에는 보통 비로자나불 뿐만 아니라 삼신불을 모시는 것이 보통인데, 대웅전과는 달리 가운데에 비로자나불을 안치하고 왼쪽에 석가모니불, 오른쪽에 노사나불을 모신다. 그러나, 화엄전, 비로전 안에는 비로자나불 한 분만을 모시는 것이 일반적이다. - 옴 아비라 훔 캄스바하 -
극락전의 주불은 아미타불이다.
아미타불은 자기의 이상을 실현한 극락세계에서 늘 중생을 위해서 설법을 하고 계시는데, 이를 상징하는 뜻으로 극락전을 아미타전이라고도 하고 또 극락세계에서는 수명이 무량하므로 무량수전이라고도 한다.
아미타불은 아득히 먼 옛날에 법장이라는 이름의 보살이었다. 그는 최상의 깨달음을 얻으려는 뜻을 세우고 살아있는 모든 자를 구제하고자 48가지의 원을 세워 10겁의 긴 세월동안 고된 수행을 했다. 그리하여 그 원을 모두 이루어서 극락세계의 부처가 되었다.
1겁이란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40리나 되는 큰 성안에 겨자씨를 가득 채우고 100년 마다 하늘새가 한번씩 날아와서 그 겨자씨를 한개씩 하늘로 물고 올라간다. 그것을 전부 물고 올라가는데 걸리는 시간을 1겁이라고 한다. 10겁이라는 한량없는 긴 세월 동안 수행한 아미타불의 무한한 공덕의 덕택으로 우리는 극락세계에 갈 수 있는 것이다.
극락전에는 가운데에 아미타불을 주불로 안치하고 좌우협시보살로 왼쪽에 관세음보살, 오른쪽에 대세지보살이 봉안되어 있다. 극락세계가 서쪽에 있으므로 극락전은 보통 동향집이고 참배하는 사람들이 서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석가모니불의 일생 중 가장 중요한 여덟 가지을 그림으로 나타낸 팔상도가 안치되어 있는 전각을 팔상전, 영산전이라고 한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생애를 묘사한 8가지 그림은 다음과 같다.
1,강도솔상 2.비람강생상 3.사문유관상 4.유정출가상 5.설산수도상 6,수하항마상 7.녹야전법상 8.쌍림열반상
약사전의 주불은 약사여래이다.
과거 세상에 약왕이라는 이름의 보살이 있었는데, 그는 중생의 아픔과 슬픔을 보고 그것을 소멸시키기 위해서 12가지의 큰 원을 세워서 수 많은 세월 동안 수행한 결과 그 원을 모두 이루어서 약사여래가 되었다.
약사전은 보통 동향으로 짓고 그 안에 약사여래를 안치하고 좌우 협시불로 왼쪽에 일광보살, 오른쪽에 월광보살이 있다.
미래세계의 부처님인 미륵불을 모신 전각을 용화전, 미륵전, 장륙전이라고 한다.
미륵불은 도솔천에서 하늘나라 사람을 위해 설법을 하시다가 불멸 후 56억 7천만 년 뒤에 오시기로 약속된 부처님으로서 사바세계에 내려와서 화림원의 용화수 밑에서 성불하고 거기서 3회의 법회를 열어 그 때까지 성불하지 못한 중생을 제도하고 교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세음보살을 모신 전각 이름은 관음전 혹은 원통전이다.
관세음보살은 대자대비를 서원한 자비로운 보살로서 모든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 언제 어디서나 중생과 같은 몸으로 나타나서 그들을 편안하게 감싸고 제도하는 권능을 가지고 있다. 관자재보살, 관세음자재보살로도 불리우며, 관세음보살상은 11면 관음, 양류관음, 천수관음 등 여러 가지 다른 모습으로 표현되며 그 종류도 많다.
관세음보살의 스승은 극락전의 주불인 아미타불이다. 제자 관세음보살은 스승인 아미타불을 항상 생각하고 그의 가르침을 잠시도 잊지 않는다는 것을 상징하기 위해서 머리에 아미타불상을 이고 있다.
수도하는 스님들에 대한 신앙의 결과로 나타난 사찰의 전각을 나한전이라고 한다. 나한은 소승, 대승을 막론하고 최고의 깨달음에 도달한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나한전 안에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10대 제자(사리불, 마하목건련, 마하가섭, 아나율, 수보리, 부루나, 마하가전연, 우바리, 라후라, 아난다) 를 모시기도 하고 16나한상을 모시기고 하며 때로는 500나한상을 봉안하기도 한다.
명부전은 죽은 영혼이 가는 유명계(저승)을 상징하는 사찰의 전각이다.
명부전 안에는 저승의 심판관인 10대왕(태광대왕, 초강대왕, 송제대왕, 오관대왕, 염라대왕, 변성대왕, 태산대왕, 평등대왕, 도시대왕, 오도전륜왕) 을 봉안하고 있기 때문에 시왕전이라 하기고 하고 또는 지장보살을 주불로 모시고 있기 때문에 지장전이라고 하기도 한다.
명부전 안에는 가운데에 지장보살이 안치되어 있고 좌우에 협시로 왼쪽에 도명존자, 오른쪽에 무독귀왕이 봉안되어 있다. 그리고 그 좌우에 명부시왕상을 안치하며, 시왕상 앞에는 각각 시왕을 시봉하는 동자상 10구가 안치되어 있다. 명부전은 일반적으로 대웅전을 향하여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다.
명부전의 주불인 지장보살은 불교가 이상으로 하는 구원을 상징하는 부처님이다. 지장보살은 모든 중생들이 구원받을 때까지 자신이 부처가 되는 것을 스스로 포기하고 천상에서 지옥에 이르는 육도(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의 중생을 모두 교화해서 성불시키겠다는 원을 세우신 분이다.
이 보살이 -땅이 감추어 준다- 라는 뜻의 지장이라는 이름을 받게 된 것은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옛날 인도의 어느 장자집 무남독녀로 태어나 17,8세 쯤 되던 해의 어느 추운 겨울날 아침에 밖에 나갔다가 추운 날씨에 먹지도 입지도 못하고 헐벗은 채로 동사 직전에 놓여 있는 어린아이를 발견하고 서는 서슴치않고 자기의 옷을 벗어서 그 아이에게 입혀주어 동사를 면하게 해주었다. 자신의 몸을 가릴 것이 없게 된 처녀가 어찌할 바를 몰라 당황하고 있을 때 마침 땅의 신이 그녀의 착한 마음에 감동하여 땅에 구멍을 만들어 몸을 감추어 준 것에서 지장이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역이나 지하도에서 노숙자를 하느님과 부처님으로 보고 교회당이나 법당으로 데리고 가서 재위주고 따뜻한 밥 한그릇이라도 대접할 줄 아는 마음을 내줄 아는 목사 또는 스님아야말로 행동하는 사랑과 실행하는 자비를 몸으로 나타내는 것이 될 것이다. - 네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시고 지금도 사랑을 주고 계신 분이 바로 지장보살이시다.
천불전은 천분의 부처님을 모셔 놓은 전각의 이름이고, 적멸보궁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전각을 말한다. 적멸보궁은 항상 부처님이 이곳에 머물며 적멸(미혹의 세계를 영원히 벗어나 무한한 안락의 경지에 도달한 즐거운 상태)의 기쁨을 누리시는 성스로운 곳이다. 전각 안에는 불단만 있고 불상이 없는 것이 적멸보궁 법당의 특색이다. 양산 통도사는 불보사찰로서 적멸보궁 법당이 있는 곳이다.
이상은 청남 권영한의 - 예불하는 아음에 자비를 - 이라는 책 속에 들어있는 내용을 소개한 것이다. 우리의 혈관 속에 면면히 흘러 내려오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불심일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사찰을 찾아갈 때 우리의 몸 속에 잠자고 있는 불심을 깨워 일으켜서 공경의 눈빛으로 돌하나 풀 한포기 라도 귀하게 보고 겸손의 귀로 물소리, 바람소리를 들어보자.
- 나재철닷컴 -
http://www.najaech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