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금재생활건강운동 (36)
금재설화(錦載屑話)
우리 몸에서 가장 운동범위가 넓고 많은 일을 담당하는 관절은 무엇일까요? 굽히고, 펴고, 벌리고, 모으고, 올리고, 내리고, 돌리기 등 다양한 운동을 수행하는 어깨 관절(shoulder joint)입니다. 우리말에 "어깨가 무겁다" 는 말이 있죠. 자신이 맡은 일에 대해서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는 의미 외 글자 그대로 무리하게 많은 일을 해서 몸이 불편하다는 뜻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런 지경까지 이르게 되면 과도한 스트레스에 의해서 뒷목과 어깨가 뻐근해 지거나, 오십견(동결근), 어깨회전근파열, 충돌증후군 등과 같은 사달(사고나 탈)이 날 것입니다. 어깨를 가볍게 하고, 튼튼하게 그리고 유연하게 해서 위와 같은 사달을 미연에 방지,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어깨관절의 운동에 관여하는 ..
여러분의 허리는 편안하시고 건강하십니까? 척주세움근(erector spinae muscle ; 엉덩갈비근, 가장긴근, 가시근, 반가시근, 허리네모근)은 허리의 대들보 근육입니다. 허리의 대들보! 허리주변 근육을 생활 속 운동을 통해서 강화하시고 "허리 튼튼' '배 날씬' 한 몸매를 만들어서 활기찬 삶을 영위하시길 바랍니다. 배를 바닥에 깔고 엎드린 자세에서 팔을 들고 가슴을 들고 혹은 사진 처럼 다리를 들어서 버티는 동작을 반복하시면 허리근육을 튼튼하게 만들고 디스크도 예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유연성은 관절의 가동범위(ROM ; range of motion)를 크게 하면서 보다 정확하고 안전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 체력은 운동 중 부상의 방지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신체적 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유연성은 신체 각 부위의 관절에 대한 운동범위를 결정해 주는데, 지방, 피부, 결합조직 등과 같은 요인들이 관절을 움직이는데 제한을 주게 됩니다. 위의 자세는 허리의 유연성을 알아보는 하나의 방법으로 '서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 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복부에 지방이 많아 배가 많이 나오면 윗몸을 굽히는 것을 방해할 것입니다. 요즘 초,중,고생들은 복부비만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앉아서(혹은 서서) 앞으로 굽히기를 할 때 본인의 발가락 조차 잡지 못할 만큼 유연성이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