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금재설화(錦載屑話)

과욕(過欲)과 과욕(寡欲) 본문

금재단상

과욕(過欲)과 과욕(寡欲)

산수호학(山叟好學) 2015. 5. 5. 22:10

 

 

 

 

   개인과   사회가   과욕(過欲),   특히   돈에   대한   욕심의   지나침으로   인해서   썩고   병들어   가고   있다.

어제(5월 4일)   헤럴드  경제- 사건팀   기사에   의하면,   경남   사천에서   아버지   재산을   노리고   전기충격기를   사용해  아버지를   넘으뜨리고   각목, 철근  등으로   마구   때려   살해하려 한  혐의로   아들 A(33)씨와   A씨의  누나(35) 등   2명이 사천경찰서에   구속되었다고   한다. 

이처럼   부모,   남편,   아내는   물론   타인의   것을   가지려는   부당한   욕심과    과도한   욕망에   의해서    벌어지는   사건들이   한 둘이   아니고   어제  오늘만의   일이   아니다.

 

   결혼이나   핏줄로   맺어진   관계인   가족(家族)을   뜻하는   영어   'family'는   'father and mother I love you(엄마 아빠 사랑해요)'를    뜻한다고   하는데,   그  가족이   돈과   재산   때문에   인륜을   저버린   패륜(悖倫)  범죄로    인하여   무참히   짖밟히고   산산조각날   처지에   놓여있어   그  문제의   심각성을   높히고   있다.

 

   "사람은   누구나   죽지만   태산(泰山)보다   무거운   죽음이   있는가   하면,    새털보다   가벼운  죽음도    있다" 고   <사기>의   저자   사마천은   일갈하면서   죽음을   가벼이   하지   않았다.   

 개인이    사적으로    생산수단을   소유할   수   있는   자본주의   체제에서의   부와   재산이    인간의    목숨을   위협하고, 파리의   죽음,    지렁이의   죽음보다    더  하찮은   것으로   전락하고   있으니   개탄할   일이다.

자본주의가   낳은 악마,   돈에   대한   그칠  줄   모르는   욕심을   드러내는   머리  검은  짐승도   문제지만,   자본주의라는 체제   그것도   문제가   있고   무거운    책임이   있다고   본다.

 

  ' 인간의   진정한   부(富)는   마음의   평화를   지니고    단순하게   사는   것이다'  란   말에   동감하고   동의한다면,   과욕(寡欲),  즉   욕심을   줄이는   노력과   실천이   필요하다.

 

남명(南冥)  조식(曺植, 1501~1572)  처사는   학문에   가장   선행하는   조건으로서   '과욕(寡欲)'을   중시하고,  그  실천방법으로서   사욕(私慾)을   이기는   극기(克己)와   마음에   찌꺼기를   깨끗하게   씻어내는   척정사재(滌淨査滓)   및   천리를   함양함(함양천리, 涵養天理)을   들고   있다(예문동양사상연구원,  오이환 편저,  한국의  사상가  10人  남명 조식,  예문서원, 2004,  p.246).

 

   이렇게   보면   문제는   결국   교육이다.   그것도   가정  및  학교  교육이   바로  서야  한다는  것이다.

욕심(虛를   채우고   싶어하는   인간의   충동),   욕망(요구 - 욕구 = 욕망)을   내고   줄임의   문제는   종교가   아닌   교육이 해결해야   하고,  그   길을   제시해야   할   책무   또한   교육에   있다.

경제의   물결이   수정자본주의를   거쳐   신자유주의로   넘어가고,   개인과   사회  및   국가가   기술과   스마트  세계로   나아가더라도   꼭   붙잡고   개인과   조직의   마음에   활착(活着)시켜야   할   것은   도덕이다.

 

해답은  '도덕교육'이다.

'금재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보야! 답은 청년 경제야  (0) 2017.04.12
안전을 믿고 안심하면서 살아도 될까요 ?  (0) 2015.06.13
맥박을 잘 짚고 계십니까 ?  (0) 2015.05.05
석전(石顚)  (0) 2015.05.04
모순  (0) 201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