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금재설화(錦載屑話)

논문의 양과 질 그리고 평가 잣대 본문

금재단상

논문의 양과 질 그리고 평가 잣대

산수호학(山叟好學) 2009. 2. 4. 22:23

몇 년전 지방의 모 국립대학의 교수채용시 마련된 규정은 이렇다.
경력 10%, 논문의 양 30%, 논문의 질 40%, 그리고 공개강의 20%

위의 규정에서 문제의 핵심은 바로 논문의 질에 대한 평가기준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느냐는 것이다.
경력 및 논문 편수의 많고 적음에 의한 양 평가는 심사하는 사람이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항목인 반면, 논문의 질 평가는 점수를
부여하는 사람의 주관이 아닌 평가 시스템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심사대상 논문은 국내의 경우 학술진흥재단 등재 후보지로 한정했고,
국외는 SCI급으로 했다. 둘 다 관련학회의 엄밀한 심사를 통과한 학회지
게재 논문임에도 불구하고 논문 제목만 보고 내외부에서 심사를 맡은 사람이
주관에 의해서 제멋대로 평가했다는 것이다. 최고 40점에서 최하 16,7점까지
줄 수 있는 기준을 악용할 수 있는 소지를 대학에서 만들어놓고 말이다.

더욱 가관인 것은 채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전공과 180도 다른 해당학과의
일부교수들이 논문의 질 평가에 참여했다는 것이다. 자기 전공 논문도 아닌
남의 전공 논문을 평가할 수 있는 규정을 아무 생각없이 만들어놓는 것도 
모자라 채용분야의 논문은 자연과학분야 쪽인데 반해서 전공학술서적 심사
평가는 인문사회과학 심사기준으로 마련해 놓고 전공도서에 인문사회과학
서적 처럼 각주(footnote)가 없다는 핑계로 점수를 깍는 불이익을 스스럼없이
자행하면서 교수를 채용하겠다니 우스운 일이다.
채용 잣대는 하나여야지 이중 잣대면 곤란한 것 아닌가.

논문의 질을 제대로 평가할려면 이렇게 해야한다.
해당 논문이 당해년도 혹은 과거 몇 년간 국내외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서
얼마만큼의 횟수로 석박사 학위논문 및 연구논문에 인용되고 기여되었는지를
조사할 수 있는 Index(지표, 지수) 시스템을 제도적으로 만들어놓고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해야하는 것이다.
이런 제도가 바로 학문의 선진화, 글로벌화가 아니고 뭐겠나. 


학문 세계에서의 제도와 운영은 잘 맞추어진 톱니바퀴 처럼 잘 돌아가도록
장치를 마련해놓고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두뇌한국을 모토로 'BK 21' 이라는 거창한 사업을 실행하면서 성과물인 
학술적 논문에 대한 관리시스템과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평가시스템 마련없이
국민의 혈세인 세금으로 막대한 연구비만 지급하면 직무유기에 해당하는 우를
범하게 되고 이를 악용하는 사람도 생기게 되는 것이다. 
어떻게 이런 사람들에게서 도덕성, 윤리성, 학자적 양심을 요구할 수 있겠는가? 

'금재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뜬 장님보다 나은 사람  (0) 2009.02.04
나선생, 논문 한 편 쓰지  (0) 2009.02.04
칼만 안 든 도둑놈  (0) 2009.02.04
인간상실과 인간회복  (0) 2009.02.04
silver power를 확실히 보여줍시다.  (0) 2009.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