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재설화(錦載屑話)
운동이 미량무기질에 미치는 영향 본문
스포츠 활동시 미량무기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구리(Cu) : 운동의 결과로서 혈청 구리 및 혈장 구리결합단백질은 증가, 감소 혹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구리는 땀과 함께 유의한 양으로 손실된다. 구리의 정상적인 일일권장량은 선수들에서 너무 낮다.
**운동중 지속적인 땀에 의한 구리 손실을 상쇄하기 위해서는 식이구리 섭취를 증가시켜야 한다.
2. 크롬(Cr) : 운동은 뇨와 더불어 크롬 손실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탄수화물(특히 단당류와 이당류)이 풍부한 식이는 뇨와 함께 크롬 손실을 증가시킨다. 동물연구에 의하면, 빈약한 크롬 상태가 간과 근육의 글리코겐 저장을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크롬 보충은 글리코겐 저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에너지 대사에서 크롬의 역할 때문에 크롬은 격렬한 신체운동과 탄수화물이 풍부한 식이를 소비하는 사람들을 위해 특히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 충분한 식이 크롬 섭취는 지구성 운동 수행능력에 최적이다.
3. 셀레늄(Se) : 항산화적 기능 때문에 셀레늄은 운동에 의해서 유발되는 지질과산화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고, 세포손상의 정도를 상쇄할 수 있다. 셀레늄 결핍은 근육조직에 영향을 미친다.
**운동선수들에서 셀레늄 섭취에 관한 유용한 자료는 미흡하다.
4. 철분(Fe) : 선수들이 일반인들보다 철결핍이 많다는 것에 관해서 상당한 논쟁이 있다. 선수들에서 헤모글로빈 농도가 낮은 것으로 아려져 있다. 규칙적인 트레이닝에 참가한 많은 선수들에서 실질적으로 철 저장이 감소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것은 감소된 골수철, 증가된 철결합력 및 낮은 혈청/혈장 ferritin치에 의한 것이다. 철의 유의한 양은 땀으로 손실된다.
**야채식을 하는 선수, 여자선수, 체급스포츠선수, 체조선수들은 부적절한 철섭취를 하고 있다. 철결핍성 빈혈은 산소수송능력을 감소시키고 지구성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5. 아연(Zn) : 혈장 아연 상태의 변화는 신체 운동의 수행능력에 기인하여 영향을 받는다. 혈장 아연은 투르드 프랑스 사이클링에 참가한 선수들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로부터 아연은 지구성 운동의 결과로써 증가하는 뇨와 땀으로 손실되기 때문에 운동은 아연필요량을 증가시킨다.
**선수들에서 아연 섭취는 총에너지 섭취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네덜란드에 연구된 것에 의하면, 대부분의 선수들은 정상적인 좌업생활양식의 사람들을 위한 일일권장량보다 더 높은 섭취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요오드(Iz) : 요오드는 갑상선 호르몬의 성분 및 합성에 관여하고 정상 대사율을 유지한다. 뇨 요오드 배출의 증가는 운동중 기계적 힘에 의해서 유발되는 근섬유 손상과 관계한다.
7. 불소(Fl), 망간(Mn), 몰리브덴(Mo)과 같은 미량무기질에 미치는 운동의 영향이 밝혀진 결과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불소는 충치예방 및 억제, 골다공증과 관계한다.
**망간은 금속효소의 구성요소, 여러 효소를 활성화시키는 기능이 있고, 헤모글로빈 합성과 성장에 관여한다.
**몰리브덴은 여러 효소의 보조 인자로서 대사작용에 관여한다.
'금재운동영양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포츠와 비타민 (0) | 2013.08.13 |
---|---|
운동성 빈혈 (0) | 2013.08.12 |
운동이 다량무기질에 미치는 영향 (0) | 2013.08.12 |
운동중 골격근 아미노산대사와 암모니아 생성 (0) | 2013.08.11 |
운동중 단백질 합성과 분해 (0) | 2013.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