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금재설화(錦載屑話)

체스 달인과 노자의 虛 본문

금재단상

체스 달인과 노자의 虛

산수호학(山叟好學) 2017. 4. 21. 17:45

 

 

 

 

 

       그릇에   아직   더   채울   수   있는   여유가    있을   때  그   여유를   <도덕경>의  저자,   노자(老子)는   허(虛, emptiness)라고   불렀다.

 

노자의   虛사상을    머리와    몸으로   체득한   사람이   있다.   

9살에   머리(체스)로,    26살에   몸(태극권)로   세계를   제패한   조시 웨이츠킨(Josh Waitzkin)이   그   주인공이다.  

1993년   미국   영화 평론가들이   '올해의 영화'로    선정한   <바비 피셔를 찾아서>의   실제   모델이자,    <배움의 기술>이란   책의   저자이기도   하다.

 

"나는  창조적  공간을  창출하기  위해  모든  삶을  빈  공간으로  만들려고  노력한다"고   말하면서,   체스  판을   텅    비워야   상대를   제압하는   결정적   전략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체득했음을  고백한다.

체스  판   위는   내   킹과   폰(pawn, 체스  판의  졸),   그리고   상대의   킹   (혹은   상대의   킹과   폰,  자기  킹)을   제외하고는   텅   비어   있다.   복잡함이   거의   사라진   상태에서   '빈   공간'의   힘을   통해   적을   추크추방(자신에게   불리하게   말을   움직일   수   밖에   없는   판국)으로   내몰   수   있는   전략에   집중한다.    챔피언이  되려면   아직  세상에 나타나지   않은   방법을   알아야   한다고   조시  웨이츠킨은   강조한다(팀 페리스,  박선령. 정지현 옮김,  <타이탄의 도구들>,  토네이도,  2017,  p. 194~199).

 

虛를   채우고   싶어하는   인간의   충동인   욕심을   멀리하고,   虛를   유지하려는   인간의   노력인   겸허를   가까이   한   몸과   마음의   진정한   챔피언이다.

 

영필일야(盈必溢也),   '차면   반드시   넘친다' 는   노자의   말씀을   깨우쳤다고   볼   수   밖에   없으니   놀라울   뿐이다.

 

텅  빈  공간에   홀로   서라  !